한국은 요즘 어떤지 모르겠지만, 독일에서는 처음 회사와 면접을 보고 계약의사가 있을 시 가장 먼저 상의를 하는 것이 원하는 업무, 월급 혹은 연봉 그리고 휴가일수예요. 휴가일수가 아주 중요한 나라인가 봐요. 현재 2023년 12월 기준 독일 Vollzeit 최소휴가일수는 년 20일이라고 하네요.
"Laut Bundesurlaubsgesetz besteht für alle Arbeitnehmerinnen und Arbeitnehmer mit einer 5-Tagewoche in Deutschland ein Mindesturlaubsanspruch von 20 Tagen pro Jahr. Tarifvertraglich sind aber meist höhere Urlaubsansprüche vereinbart."
Urlaubsanspruch
Der Indikator gibt an, auf wie viele Urlaubstage jede und jeder Arbeitnehmer in einem Kalenderjahr Anspruch hat.
www.destatis.de
근데 만약에 면접 본 회사가 휴가 20-25일 정도 준다고 하면.. 월급이 어마어마하게 높고 회사 분위기가 어마어마하게 좋지 않은 이상 계약하지 않는 것을 추천드려요. 면접자가 원하는 휴가일수 말 못 하고 우물쭈물하고 있으면, 보통 최소 28일은 제안합니다. 대략 28-32일 정도 선이 무난한 것 같아요. 한국이랑 비교해서 독일이 휴가일수가 많다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독일은 빨간 날이 많이 적어요. 한국 빨간 날이랑 독일 휴가일수+빨간 날 체크 해보면 거의 비슷해요. 그래도 독일 휴가 제도가 더 좋다고 생각되는 이유는, 내가 쉬고 싶을 때 쉴 수 있다는 것. 많은 사람들에게 그게 가장 큰 장점으로 느껴지는 것 같아요.
그리고 어느 정도 시스템화된 회사에서는 계약상의 Urlaub일수 외에 특별한 경우에 Sonderurlaub을 쓸 수도 있습니다. 회사마다 규정과 휴가일수가 조금 다르지만 거의 비슷하게 흘러간다고 보시면 돼요~
제가 다니는 회사의 경우 아래의 조건에서 Sonderurlaub을 쓸 수 있어요.
- 본인이 결혼할 경우 2일 ( bei eigener Eheschließung 2 Tage )
- 배우자(동거인)가 출산한 경우 2일 ( beim Niederkunft der Ehefrau oder Lebenspartnerin zur Geburt eines eigenen Kindes 2 Tage)
- 배우자(동거인) 가 사망한 경우 3일 ( beim Tode des mit dem Angestellten in häuslicher Gemeinschaft lebenden Ehegatten, Partners oder des Kindes 3 Tege )
- 가족 (부모, 시부모, 형제자매)가 사망한 경우 1일 ( beim Tode von Familienangehörigen (Eltern, Schwiegereltern, Geschwistern) 1 Tag )
- 가족 (자녀, 형제자매)가 결혼할 경우 1일 ( bei Eheschließung von Familienangehörigen (Kinder, Geschwister) 1 Tag )
- 본인이 이사할 경우 1일 ( bei eigenem Umzug 1 Tag )
회사에 이런 규정들이 있는지 잘 모르겠다면 Sekretariat에 한 번 물어보세요. 이런 거 챙기는 거 중요해요~ 그리고 이런 휴가 쓸 때는 꼭 이유를 명시하고 Sonderurlaub을 쓴다고 체크해야 돼요~ 안 그럼 본인의 휴가일수가 사용될 수 있거든요.
그 외에도 unbezahlter Urlaub도 있는데.. 이건 추천하지 않아요. 일 안한 일수만큼 월급에서 빼는데, 생각보다 많이 까여요. 임신 중이라면 특히나 사용하지 마시길 추천드려요. 나중에 Mutterschutz랑 Elternzeit 때 경제적으로 불리해요.
집이랑 회사가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병원갈 때는 Homeoffice를 하거나 첫 타임이나 마지막타임에 Termin을 잡아놓으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급히 아파서 병원 간다면 당연히 회사에 Krankmeldung을 하셔야 합니다:)
'독일 일상&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에서 중고거래하기 (2) | 2023.12.25 |
---|---|
독일에서 한국 갈 때 선물 | 2023년 11월 (3) | 2023.12.22 |
독일의 세금등급 (Steuerklasse) (2) | 2023.12.17 |
독일 연말정산 세금환급 대상항목 (2) | 2023.12.17 |
독일 영주권 신청하기 1 (4) | 2023.12.11 |